우리가 만드는 사이트의 프로덕트가 커지고, 팀원이 늘어날수록 디자인의 일관성은 점점 무너지기 쉽습니다.
버튼 하나, 색상 하나에도 기준이 없으면 브랜드 신뢰도는 물론 개발 생산성까지 떨어지죠.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디자인 시스템이고,
그걸 Figma에서 구축하면 생산성과 협업 효율이 눈에 띄게 향상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Figma 디자인 시스템 구축 방법을 핵심만 추려서 정리해드릴게요.
디자인 시스템이란?
디자인 시스템이란 일관된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한 규칙, 컴포넌트, 스타일의 집합입니다. 아주 중요해요! 메모메모!
단순한 ‘스타일 가이드’를 넘어서, 실제로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함께 사용하는 살아 있는 도구죠.
Figma는 이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구성 요소
- 컬러 스타일
- Primary, Secondary, Accent, Background, Text 등
- 실제 코드 변수명과 매칭시키면 협업에 좋음
- 타이포그래피 스타일
- Heading 1~6, Body, Caption 등
- 크기, 자간, 줄 간격, Weight까지 정의
- 그리드 & 스페이싱 기준
- 4pt/8pt 시스템 추천
- 컴포넌트 간의 여백이 일관되게 유지되도록 설정
- 컴포넌트
- 버튼, 인풋, 카드, 리스트 등 자주 사용하는 UI 요소
- 상태별 (hover, disabled 등) 변형 포함
- 아이콘 & 이미지 가이드
- 사이즈, 스타일, 포맷 일관성 유지
- 토큰(Token) – 고급 기능
- Figma 플러그인으로 디자인 토큰(색상, 텍스트, 여백 등)을 코드와 연동 가능
실무에서의 운영 팁
- 파일 구조 명확히 나누기
→00_Design System
,01_Components
,02_Pages
등 명명 규칙 설정 - Team Library 기능 활용
→ 컴포넌트, 스타일을 팀 전체에 공유하고 중앙에서 관리 가능 - 버전 관리 필수
→ 변경 시 기록을 남기고, 주요 수정은 슬랙/노션 등과 연동해 공지 - 디자인 QA 문서와 연결
→ 개발자와의 핸드오프 시 Figma 내 Inspect 탭 + 라이브러리 활용
추천 플러그인– 강추 합니다.
- Design System Organizer: 스타일 일괄 관리
- Themer: 다크 모드, 라이트 모드 토글 쉽게 적용
- Tokens Studio: 디자인 토큰 관리
- Content Reel: 더미 텍스트, 이미지 자동 삽입
끝으로요.마무리하며
디자인 시스템은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팀 전체의 효율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Figma를 활용하면 디자이너, 개발자, 기획자 모두가 하나의 기준을 바탕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버튼 하나, 색상 하나부터 정리해보세요.
작은 시작이 팀 전체의 속도를 바꾸는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