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개념 Figma 기초 익히기 프레임, 컴포넌트, 오토 레이아웃 쉽게 이해하기

Figma를 처음 배우다 보면 우리는 여러가지 말을 알게 됩니다.

‘프레임’, ‘컴포넌트’, ‘오토 레이아웃’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겉으로 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각각 전혀 다른 역할과 개념이 있습니다.
이 세 가지 기능은 UI/UX 디자인의 뼈대를 구성하는 핵심이기 때문에 초반에 잘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해요.

이번 글에서는 디자인 경험이 없는 사람도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Figma의 프레임(Frame), 컴포넌트(Component), 오토 레이아웃(Auto Layout)을 쉽게 풀어 설명해드릴게요.


1. 프레임(Frame): 디자인의 캔버스

프레임은 쉽게 말해 화면의 틀입니다.
우리가 디자인하려는 모바일 앱, 웹사이트, 카드, 버튼 등 모든 요소의 기본 단위가 바로 프레임이에요.

  • F 키를 누르면 프레임 도구가 실행됩니다.
  • 다양한 디바이스 사이즈 (예: iPhone 13, Desktop 등)를 선택해 UI를 구성할 수 있어요.
  • 프레임 안에 텍스트, 버튼, 이미지 등을 배치하면 하나의 ‘화면’이 됩니다.

프레임은 아트보드처럼 생각해도 무방하며,
프레임 안에 또 다른 프레임을 넣는 것도 가능합니다.


2. 컴포넌트(Component): 반복되는 요소의 마스터 파일

컴포넌트는 쉽게 말해 복붙의 진화 버전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버튼, 카드, 입력창 등을 하나의 컴포넌트로 만들어두면
한 번 수정으로 전체 디자인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어요.

  • 예: ‘로그인’ 버튼을 여러 화면에 넣었을 때, 텍스트나 색상을 바꾸려면? → 원본 컴포넌트만 수정하면 끝!

만드는 방법:
요소를 선택하고 Cmd/Ctrl + Alt + K 누르거나, 우클릭 > ‘Create component’

컴포넌트는 유지보수에 강력한 도구이며, 디자인 시스템을 구성할 때 필수입니다.


3. 오토 레이아웃(Auto Layout): 반응형처럼 유연하게

오토 레이아웃은 Figma의 가장 똑똑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요소들의 크기나 위치를 자동으로 정렬하고, 여백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기능이에요.

예를 들어:

  • 버튼 안의 텍스트가 길어지면 → 버튼의 가로 길이도 자동으로 늘어남
  • 리스트 아이템을 복사하면 → 동일한 간격으로 자동 정렬

적용 방법:
레이어를 선택하고 Shift + A 누르거나, 오른쪽 패널에서 ‘+ Auto layout’ 클릭

오토 레이아웃은 특히 디자인을 반응형처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어,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


마무리

기능핵심 역할단축키
프레임UI의 구조와 틀F
컴포넌트반복 요소 관리Cmd/Ctrl + Alt + K
오토 레이아웃정렬 & 반응형 구성Shift + A

최종적으로요.

Figma에서 프레임, 컴포넌트, 오토 레이아웃을 잘 이해하면
작업 속도는 3배, 효율은 5배 향상될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은 단순한 기능을 넘어서, 전문적인 디자인 시스템의 기반이 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