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와 개발자간 소통을 위한 Figma-to-Code 워크플로우 방법 소개

자자 주목 해주세요!

디자인은 끝났는데, 개발에 전달하자마자
“폰트 사이즈가 이상한데요?”, “이 버튼 여백 맞나요?”, “컬러 코드가 다르네요” 같은 얘기를 들어 봤을겁니다!

디자인이 깔끔해도, 전달 방식이 정리되지 않으면 개발 단계에서 꼬이기 쉽상이죠?
그래서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모두 알아야 할 게 바로 Figma-to-Code 워크플로우예요.
이 글에서는 디자인을 코드로 자연스럽게 넘기는 실무용 협업 루틴과 도구를 소개할게요.

1. 디자인을 ‘개발 가능한 형태’로 정리하는 법

  1. 정확한 프레임 설정
    → Desktop, Mobile 등 디바이스 사이즈 기준을 명확히
  2. Auto Layout 적극 활용
    → 여백, 정렬, 반응형 구성 등 코딩 기준과 맞추기 쉬움
  3. 텍스트 & 컬러는 Style로 관리
    Text Style, Color Style로 통일하면 개발자가 변수처럼 쓸 수 있어요
  4. 컴포넌트화
    → 버튼, 카드, 리스트 등 반복되는 UI는 컴포넌트로 설정

2. Figma Inspect 기능 100% 활용하기

Figma는 [Inspect] 탭에서 개발자가 필요한 사이즈, 컬러, 폰트, 여백, CSS 코드까지 확인할 수 있어요.

개발자용 체크리스트

  • 모든 텍스트는 명확한 폰트/사이즈/라인헬ight
  • 색상은 HEX 또는 RGBA로 명시
  • 간격은 px 기준으로 명확히 표시
  • 컴포넌트는 재사용 구조로 설계 (변형 최소화)

개발자는 Inspect에서 원하는 요소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CSS 코드가 생성돼요.
이걸 복사해서 바로 React, Vue, HTML 등에 붙여넣는 것도 가능!


3. 코드 전환 도와주는 플러그인 & 도구 추천

  • Figma to Code
    HTML, CSS 코드 자동 생성 (기본적인 UI용)
  • Locofy.ai
    Figma → React, Next.js 코드 자동화 (반응형도 지원)
  • Anima
    고급 인터랙션 포함한 코드 추출 가능 (정적 웹페이지 수준)
  • Builder.io
    디자이너가 만든 화면을 그대로 코드로 옮기는 no-code 협업 툴

단, 이 도구들은 **전부 100%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코드의 초안’**으로 활용하고,
실제 개발자는 수정하고 최적화해야 해요.


4. 협업: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함께 일하는 법

  • 초반 기획 단계부터 같이 논의
    → 화면 구성 방식, 디자인 시스템 구성 등 사전 조율
  • 공통 언어 만들기
    → 텍스트 스타일, 컬러, 버튼 구성 등에 이름 통일
  • 공유 파일은 ‘보기 전용 + 설명 포함’
    → 각 컴포넌트/섹션에 설명 텍스트 추가하면 커뮤니케이션 줄어듦
  • 디자인 가이드 문서화
    → Notion/Google Docs 등으로 정리하여 문서화 병행

마무리하며

Figma 디자인이 아무리 멋져도,
개발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절반짜리 작업이 될 수 있어요.
디자이너는 전달 구조를 정리하고,
개발자는 Figma 파일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서로의 영역을 존중하는 가장 중요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