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ma Inspect 탭 100% 이해하기 – (개발자용) 완전 설명서

디자인 전달받고 나서
“폰트 크기 뭐였지?”, “간격 기준은?”, “컬러 코드가 맞나?”
매번 디자이너에게 묻고 있다면, 지금 바로 Figma Inspect 탭을 확인해보세요.

Figma의 Inspect 탭은 개발자를 위한 정보 추출 전용 뷰입니다.
디자인 요소의 사이즈, 여백, 폰트, 컬러, CSS 코드까지 자동 추출해주기 때문에
Zeplin 없이도 빠르고 정확한 개발이 가능하죠.

이 글에서는 Figma Inspect 탭을 100%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Inspect 탭, 어디서 찾나요?

디자인 파일에서 원하는 오브젝트를 클릭하면
오른쪽 패널에 속성(Property)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상단 탭 중 “Inspect” 를 클릭하면 바로 확인 가능해요.

개발자라면 View-only 권한만 있어도 Inspect 탭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spect 탭에서 볼 수 있는 정보들

  1. 크기(Size)
    • 요소의 Width, Height 정확하게 표시
    • 박스 사이즈 기준과 맞춰서 확인 가능
  2. 폰트 정보(Font)
    • Font Family, Size, Weight, Line Height
    • 문자 간격(Letter spacing)까지 포함
  3. 컬러(Color)
    • HEX, RGB, HSL로 자동 변환
    • 배경색, 텍스트 컬러, 보더 색상 모두 표시
  4. Spacing / Padding
    • Auto Layout을 적용한 경우
      → 내부 여백(Padding), 요소 간 간격(Gap) 정보 표시
  5. Border & Radius
    • 테두리 두께, 모서리 둥글기(Radius)까지 확인 가능
  6. Shadow & Effect
    • Drop Shadow, Inner Shadow 등 CSS로 자동 변환
  7. CSS 코드 자동 생성
    • 기본적으로 CSS 코드로 추출되며, 탭에서 Android / iOS 코드로도 변경 가능

코드 복사도 바로 가능해요

Inspect 탭 하단에는 Copy 버튼이 있어서

  • CSS
  • iOS (Swift)
  • Android (XML)
    형태로 코드 복사가 가능해요.
font-family: 'Inter';
font-size: 16px;
line-height: 24px;
color: #333333;

단, 코드를 그대로 쓰기보다는 디자인 시스템 변수나 클래스 구조에 맞춰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요!


개발자가 체크해야 할 부분은요

  • 텍스트가 실 텍스트인지 확인 (벡터나 이미지로 되어 있는 경우 안 나옴)
  • 요소들이 Auto Layout 기반으로 구성되었는지 → 여백 자동 정리 가능
  • 레이어 이름이 논리적으로 되어 있는지 (예: btn/primary/disabled)
  • 중복된 스타일은 없는지 → 디자인 시스템 기반인지 체크
  • 필요한 상태(Hover, Active 등)가 포함되어 있는지

실전 핵초 꿀 팁

  • 디자이너가 정리한 컴포넌트는 이름 + 설명 텍스트로 구분되어 있는지 확인
  • 반응형 디자인이면 프레임별로 사이즈 기준이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
  • 필요한 경우, Comment 탭으로 바로 피드백 남기기 가능 (Figma 내부 실시간 협업)

마무리

Figma Inspect 탭만 잘 활용해도
디자이너와 직접 커뮤니케이션할 필요 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개발 작업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Zeplin 없이도 충분히 가능하고,
작업 속도는 올라가고 실수는 줄어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