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ma 프로젝트 정리법 – 일 잘하는 사람의 폴더 구조 살펴보기

저같은 mbti가 P로 끝나는 사람의 가장 힘든점은요?

디자인은 예술이지만, 프로젝트 관리하기가 힘들다는거에요.


아무리 예쁜 화면을 잘 만들어도,
Figma 파일이 뒤죽박죽이면 협업자들이 “이거 어디에요…?”라고 물으면 전 늘 망설이게 돼요. 어딨더라… 휴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중요한 건 바로 ‘정리력’ 이랄까요?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Figma 프로젝트 정리 구조 + 폴더/페이지 관리법을 소개할게요.
정리만 잘해도, 일잘러 소리 듣는 건 시간문제 아닐가요?(저한테 하는 소리 입니다 ㅠ)

1. Figma 팀 & 프로젝트 구조 이해하기

Figma에서는 크게 이렇게 나뉩니다!

  • Team: 전체 회사 or 조직 단위 (예: 디자인팀, 클라이언트 A팀)
  • Project: 하나의 주제나 클라이언트 단위 (예: 모바일 앱 디자인, 브랜드 리뉴얼)
  • File: 실제 작업 파일 (예: Main_UI, Design_System)
  • Page: 한 파일 안의 탭 (예: Wireframe, Final, Feedback)

Tip:
1팀 1프로젝트 2~5파일 구조로 유지하면 협업 시 혼란이 줄어요.


2. 기본 폴더 구조 예시 (깔끔하게!)

Project: [브랜드명 or 클라이언트명]
├── 00_Design_System
├── 01_Wireframe
├── 02_High_Fidelity
├── 03_Prototype
└── 04_Archive (or Old)

정리 규칙:

  • 파일명 앞에 숫자 붙이기 → 자동 정렬 효과
  • 불필요한 파일은 Archive에 모아두기
  • 디자이너마다 개인 작업은 별도 팀/Private 프로젝트에 보관

3. 한 파일 안의 페이지 구조는 이렇게

01_High_Fidelity 파일 내 페이지 구성:  
- Cover
- 01_Login
- 02_Onboarding
- 03_Home
- 04_Mypage
- 99_Feedback_Notes
  • Cover 페이지: 썸네일 이미지 + 간단한 설명
  • 숫자 + 화면 이름으로 구분 → 흐름 파악 쉬움
  • 마지막에 99_피드백 페이지 추가해 코멘트, 수정 기록 정리

4. 컴포넌트 / 스타일은 따로 관리

00_Design_System
- Colors
- Typography
- Buttons
- Icons
- Components (Header, Card, Input 등)

→ 스타일은 꼭 Styles로 등록하고,
→ 컴포넌트는 재사용 가능한 단위로 분리
→ 이 파일은 Team Library로 공유 설정!


5. 실무 팁 – 진짜 일잘러는 이렇게 관리해요

  • 모든 파일/페이지에 한 줄 설명 적기
  • 작업 완료된 페이지에 표시하기
  • 변경 이력은 버전명 v1.0, v1.1 등으로 남기기
  • 디자인 QA 전엔 꼭 파일 정리 + 페이지 잠금
  • Cover 썸네일은 꼭 깔끔하게 만들어두기 → 클라이언트 인상 Up!

마무리하며

Figma를 잘 다룬다는 건, 디자이너가 일을 잘한다는건요.
단순히 예쁘게 디자인하는 게 아니라 누가 봐도 명확하게 구조화하는 능력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정리된 구조는 실력이고,
협업자들에게 “이 디자이너, 정말이지 신뢰된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어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