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툴을 처음 고를 때 많은 분들이 고민하는 두 가지가 있어요.
바로 Figma와 Canva입니다. 하지만 이둘은 매우 달라요.
둘 다 무료로 시작할 수 있고, 웹 기반이라 접근성이 좋기도 하지만
용도와 방향성은 확실히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Figma와 Canva의 특징, 장단점, 추천 사용자 유형까지
한 번에 정리할까 합니다.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 Figma vs Canva
항목 | Figma | Canva |
---|---|---|
설치 여부 | 웹 기반 (설치 無) | 웹 기반 (앱도 있음) |
접근 난이도 | 중급 이상 | 초보자 친화적 |
작업 방식 | 벡터 기반 + 무제한 캔버스 | 템플릿 기반 + 제한된 캔버스 |
협업 기능 | 실시간 다중 편집 가능 | 팀 협업 기능 가능 (유료 제한 있음) |
디자인 자유도 | 완전 자유 (UI/UX, 반응형 가능) | 제한적 (틀 내 편집) |
애니메이션/인터랙션 | 프로토타입, 애니메이션 지원 | 간단한 전환 애니메이션 중심 |
브랜드/디자인 시스템 | 구성 가능 (스타일, 컴포넌트 등) | 일부 가능 (Canva Pro 기준) |
추천 용도 | 웹/앱 UI,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축 | SNS 콘텐츠, 포스터, 카드뉴스 |
Figma가 더 좋은 경우 (이런분들께 추천해요.)
- 웹사이트, 앱 디자인을 시작하려는 UI/UX 디자이너 지망생
- 디자인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컴포넌트 중심의 작업을 하고 싶은 팀
- 반응형 디자인, 프로토타입까지 전문적인 디자인 작업이 필요한 경우
- 개발자와 함께 협업해야 하는 프로젝트 (코드 Inspect 기능 있음)
예시:
스타트업의 신규 서비스 앱 디자인 /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 설계
Canva가 더 좋은 경우 (이런분들께 추천해요.)
- 디자인 경험이 전혀 없는 비디자이너 초보자
- 유튜브 썸네일, 인스타그램 카드뉴스, 명함, 전단지 등
빠르게 콘텐츠를 만들어야 하는 1인 운영자 - 수백 가지 템플릿을 활용해 쉽고 빠르게 시각 자료를 만들고 싶은 마케터
- PPT, 보고서, 제안서 디자인이 필요할 때
예시:
카페 인스타 운영자 / 쇼핑몰 배너 제작 / 강의 썸네일 제작
실제로 써보면 느껴지는 차이점
Figma는 “백지에서 그리는 자유로움”,
**Canva는 “프레임 안에서 편하게 꾸미는 안정감”이 있습니다.
- Figma는 처음엔 어렵지만, 익히면 무한 확장 가능
- Canva는 바로 시작할 수 있지만, 커스터마이징 한계가 분명함
두 툴 모두 브라우저 기반, 무료 플랜, 간단한 공유 기능을 제공하니
목적에 맞춰 함께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론: 어떤 툴을 선택할까?
당신이… | 추천 툴 |
---|---|
UI/UX 디자이너를 목표로 한다 | Figma |
브랜드 키트를 직접 만들고 싶다 | Figma |
디자인은 처음이고, SNS 카드부터 만들고 싶다 | Canva |
영상 썸네일, 발표자료를 빠르게 만들고 싶다 | Canva |
템플릿은 질리고, 자유로운 구성을 하고 싶다 | Figma |
최종적으로
툴에 정답은 없죠.
당신의 목적, 작업 스타일, 성장 방향에 따라 도구는 달라져야 하니까요.
처음엔 Canva로 시작해서 Figma로 넘어가는 사람도 많고,
Figma에서 프로로 성장해도 Canva로 빠른 콘텐츠를 만들기도 해요.